목차
경찰이 공개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의 수첩 내용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 수첩에는 ‘사살’이라는 표현을 비롯해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등을 대상으로 한 ‘국회 봉쇄’와 같은 구체적인 내란 계획이 기록되어 있었습니다.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이러한 내용이 “사실에 부합한다”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공식 확인했습니다.
노상원 수첩에서 드러난 '사살' 계획
노 전 사령관은 12·3 비상계엄의 핵심 기획자로 지목되고 있으며, 그의 수첩에는 ‘수거 대상’이라는 이름 아래 정치인, 언론인, 종교인, 판사, 공무원 등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수거 대상자들에 대해 ‘체포’를 넘어 ‘사살’이라는 극단적인 표현이 포함되어 있어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경찰은 수첩의 내용이 단순한 메모를 넘어 계엄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준비 작업이었음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적힌 ‘수용 및 처리 방법’은 내란 기획 세력이 얼마나 세밀하게 계획을 세웠는지를 보여줍니다.
‘오물풍선’과 ‘북방한계선(NLL) 북의 공격 유도’
또한 수첩에서는 ‘오물풍선’이라는 코드명이 발견되었습니다.
경찰은 이 표현이 북한과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공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북방한계선(NLL) 북의 공격 유도’라는 메모도 발견되었으며, 이는 비상계엄 기획 세력이 ‘북풍 공작’을 계획한 증거로 해석됩니다.
경찰 특별수사단은 수첩에서 확보한 메모를 바탕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외환죄 및 일반이적죄 혐의 여부를 수사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대한민국의 군사적 이익을 훼손했을 때 적용되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국회 봉쇄 계획과 계엄 기획의 정체
노 전 사령관의 수첩에는 ‘국회 봉쇄’라는 표현도 등장했습니다.
이는 비상계엄 상황에서 국회의 기능을 강제로 마비시키려는 계획으로 해석됩니다.
경찰은 이 메모에서 특정 판사 및 관계자들의 실명이 적시된 것을 확인하며, 내란 계획이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성을 염두에 둔 작업이었음을 강조했습니다.
수첩은 손바닥 크기의 60~70페이지 분량으로, 계엄 및 관련 세부 계획이 빼곡히 적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사 진행 상황과 주요 쟁점
경찰은 경기 안산의 한 점집에서 확보한 이 수첩과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수사를 진행 중입니다.
현재 군 주요 관계자 25명의 비화폰 서버를 분석하며, 관련 증거를 추가로 수집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 삼청동 대통령 안전가옥의 CCTV 영상 확보를 위해 법원의 영장을 재신청하여 발부받았습니다.
노 전 사령관은 혐의와 관련된 구체적인 진술을 거부하고 있으나, 경찰은 주변 인물들의 진술을 통해 수첩 내용의 신빙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결론: 내란 음모의 전말
노상원 전 사령관의 수첩은 단순한 기록물이 아니라, 내란 세력의 실체를 드러낸 중요한 증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찰은 수사를 통해 비상계엄 기획 세력의 범죄 행위와 계획을 철저히 규명해야 할 책임을 지니고 있습니다.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이 사건의 진실이 밝혀지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