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제원 성폭력 의혹 사망 보도, 피해자는 어디에? 언론의 책임과 여론의 민낯

by 한입정보 편집과장 2025. 4. 1.

목차

    반응형

    장제원 사망 보도와 여론의 반응, 우리는 누구를 바라보고 있는가?

    2025년 3월 31일 밤, 장제원 전 국민의힘 의원이 성폭력 고소 사건의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를 받던 중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그러나 장 전 의원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언론과 여론이 보여주는 반응은 많은 이들에게 또 다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바로, “우리는 피해자를 충분히 주목했는가?”입니다.

    언론 보도, 왜 대부분은 ‘장제원’만을 말하는가

    사건 발생 후 다수의 언론은 장 전 의원의 정치적 경력과 유서를 중심으로 보도를 쏟아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측근”, “비서실장 출신”, “유서에 성폭력 언급은 없었다”는 제목들이 포털 상단을 장식했습니다.

     

    하지만, 피해자의 입장은 대부분 짧게 언급되거나 부차적인 요소로 처리됐습니다.

     

    기자회견을 준비하던 피해자 측의 일정이 취소된 사실은 ‘참고’ 정도로 다뤄졌고, 9년의 침묵과 용기, 증거 제출 과정은 거의 보도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보도 방식은 언론의 본질적인 역할, 즉 사회의 약자와 진실을 조명하는 책무에서 벗어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누구의 목소리에 집중했는가? 여론의 방향성에 대한 성찰

    SNS와 커뮤니티 반응도 둘로 나뉘었습니다.

     

    일부는 “억울해서 극단적 선택을 한 것”이라는 피의자 중심의 서사에 몰입했고, 또 다른 일부는 “피해자에게 책임을 묻는 듯한 분위기”에 우려를 표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자칫하면 피해자를 또다시 침묵시키는 2차 가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아직 수사나 법적 판단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의 무분별한 추측과 조롱은, 성폭력 피해자들이 고소를 주저하는 대표적인 이유이기도 합니다.

    사건은 끝났지만, 우리 사회의 태도는 남는다

    피의자가 사망하면 사건은 ‘공소권 없음’으로 종결되지만, 이는 법적 절차의 종료일 뿐입니다.

     

    사회의 윤리적, 도덕적 책임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피해자가 경험한 시간과 고통은 ‘사건 종결’로 무효화되지 않습니다.

     

    여성단체들은 “피해자가 고소하는 데 9년이 걸린 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놓은 침묵의 구조 때문”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언론, 사법, 정치 시스템 모두에게 해당되는 지적입니다.

    언론과 시민이 함께 해야 할 역할은 무엇인가

    이번 사건은 언론과 시민 모두에게 깊은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누구를 주목하는가?" "누구의 시선으로 사건을 바라보는가?"

     

    언론은 단지 피의자의 죽음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넘어서, 피해자의 권리와 사건의 맥락, 그리고 더 넓은 사회적 배경을 함께 조명해야 합니다.

     

    시민 역시 성폭력 사건을 소비하는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책임감 있는 태도로 피해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공소권 없음’의 사회적 의미와 우리의 과제

    형사절차는 종료됐지만, 피해자 보호와 재발 방지에 대한 논의는 이제 시작돼야 합니다.

     

    이 사건은 앞으로 성폭력 사건의 보도 기준과 사회적 대응에 있어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해야 할 중요한 시사점을 남겼습니다.

     

    피해자의 용기가 헛되지 않도록, 우리 모두가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이 사건을 이야기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 도움이 필요한 분은 아래 상담 창구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예방 상담전화 1393 / 희망의 전화 129 / 청소년 전화 1388

     

    반응형